Toggle navigation
섬, 하다
홈
포트폴리오
소개
프로필
수상경력
활동이력
문의
한국의 사하라 사막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
PREV
NEXT
인천 옹진군 대청도 북쪽 옥죽동에 위치한
해안사구
가
독특한 사막 풍경과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로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
바다에서 불어온 모래바람이 만들어낸 자연 지형은
‘한국의 사하라 사막’
으로 불리며 이국적 풍경을 자랑한다.
모래가 만든 대청도 이야기
“40년 전 이곳은
축구장 약 70개 크기
를 자랑했던 거대한 모래사막이었습니다.”
2025년 9월 2일 옥죽동 해안사구에서 만난 조철수 백령·대청 지질공원 해설사는 이같이 설명했다.
이 사구는 국내 해안사구 중에서도
손꼽히는 규모
를 자랑했다.
농여해변과 옥죽해변, 대진동해변에서 날아든 모래는
옥죽동을 넘어 산 건너편 답동해변까지 쌓일 정도였다.
이 때문에
‘옥죽동 처녀들은 모래 서 말을 먹어야 시집을 갈 수 있다’
는 속담까지 생겨났다.
처녀는 당시 미혼 여성을 뜻하는 표현으로 모래와 함께 살아온 섬사람들의 삶을 상징한다.
특히 이 속담은 당시 대청도의 주요 생업이었던
까나리 어업
과도 관련이 깊다.
당시 남자들이 바다에서 까나리를 잡아 오면 여자들은 이를 삶아 말려서 전남 목포까지 가져가 팔았다고 한다. 그 과정에서 바닷바람에 날린 모래는 생활 곳곳에 스며들었고,
이 속담은
모래와 함께 살아온 섬사람들의 일상
을 담은 민담처럼 전해지고 있다.
옥죽동 해안사구는 자연 경관뿐 아니라
이색적인 볼거리
로도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사구 한가운데 설치된
쌍봉낙타 조형물
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
진짜 낙타인 줄 알았다
’는 반응이 나올 만큼 정교하게 만들어져 있다.
사막 한가운데 서 있는 듯한 풍경 덕분에 많은 관광객이 이곳에서 발길을 멈추고 사진을 남긴다.
이날 현장에서도 관광객들이 삼삼오오 모여 기념 사진을 찍고 있었다.
.
.
.
언덕 위 전망대에는
‘어린 왕자와 여우’
조형물도 설치돼
사막 같은 지형과 동화적 감성이 어우러진 풍경을 완성한다.
바다와 사막이 공존
하는 이곳은 다른 어느 해변에서도 쉽게 보기 어려운 매력을 전한다.
1980년대
들어 모래로 인한 생활 불편이 커지자 주민들은 민원을 제기했다.
모래는
집 안 식탁 위까지
날아들었고, 밥을 먹다 모래를 씹을 정도였다.
집 안 구석구석까지 스며든 모래는 주민들의
일상을 위협
할 만큼 큰 불편이었다.
이에 정부는 해안선을 따라
방사림을 조성
했고, 사구는
축구장 3~4개 크기로 규모가 줄어들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사구를
자연스럽게
되살리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인천시는 가톨릭관동대학교와 함께
관측 장비와 카메라 4대를 설치해
모래 이동 경로
와
바람 방향
을 관측하고 있다.
“일부 방사림을 정비하면
바람길이 다시 열릴 수
있어요. 빠르면
5~6년
안에 예전 규모의
3분의 1
정도는 회복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해안사구가
복원과 보존의 균형 속에
지속 가능한 해안 생태공간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 섬, 하다 >
< 섬, 하다 >는 인천 바다 끝에 사는 섬 주민들 이야기다.
대청도와 소청도에서 10억 년 시간의 흔적이 새겨진 서풍받이와 나이테바위, 모래가 만든 해안사구, 117년간 불을 밝혀 온 소청등대까지 섬의 삶과 변화를 기록했다.
기사 바로가기
이나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