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4일 오전

구름이 잔뜩 낀 하늘 아래 비가 부슬부슬 내렸고, 
거센 파도가 절벽에 세차게 부딪쳤다.
멀리서 바라보면 울창한 산림이 검푸르게 보여 
‘청도(靑島)’, 즉 푸른 섬이라 불리는 소청도
그 섬의 서쪽 끝, 해발 83m 해안 절벽 위에 
하얀 등대 하나가 묵묵히 서 있었다.

바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유인 등대, 소청도 등대다.
1908년 1월 1일 일제강점기 당시 첫 불을 밝힌 이 등대는 
올해로 117년째 하루도 빠짐없이 서해를 비추고 있다.

 바다에서 약 42㎞ 떨어진 거리에서도 
불빛이 보일 만큼 밝게 빛난다. 
등대 전망대에 올라서니 
서해의 푸른 바다가 끝없이 펼쳐졌다. 
발 아래로 펼쳐진 바위와 절벽은 
마치 거북이 등 위에 올라선 듯한 풍경을 연출했다.
20250904_대청도_소청도_셀렉본_9A2A0781.jpg
박준복(67) 소청도 이장 겸 지질공원 해설사

“아버지, 할아버지 때만 해도 나침반 하나만 들고 바다에 나가셨어요. 
지금이야 배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같은 장비가 있지만 
예전에는 이 등대 불빛이 깜깜한 밤바다에서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유일한 길잡이자 그야말로 목숨줄이었죠.”




소청도 등대는 단순히 항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넘어 오랜 세월 주민들의 
기억과 삶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
등대를 둘러보던 박 이장은 
조심스럽게 옛날이야기를 꺼냈다.


1960년~1970년대 소청도에는 ‘금주령’이 있었어요. 술을 담그거나 마시는 게 금지돼 있었죠. 
가택 수색도 당하니까 마을 사람들이 사람 손이 닿지 않는 등대 절벽 근처에 술을 숨기곤 했어요. 
밤엔 ‘등대 놀러 간다’고 핑계 대고 올라가서 술을 마셨다고 하더라고요.”
9A2A0880.JPG




문제는 그 길이 지금처럼 잘 정리된 탐방로가 아니라 
‘낭길’이라 불린 절벽 길이었다는 점이다.

“거기서 굴러떨어져 목숨을 잃은 어르신들도 있고, 
다행히 살아남은 분도 있어요. 그중 한 분은 지금도 소청도에 살고 계세요
등대는 섬 주민들의 삶이 고스란히 쌓여있는 곳이에요.”
202509_대청도_소청도_출장_9A2A0933.jpg


최근 해양수산부에서 추진하는 ‘이달의 등대’ 정책 덕분에 소청도를 찾는 관광객들도 조금씩 늘고 있다. 전국의 등대를 순례하며 마지막 코스로 이곳을 찾는 방문객도 적지 않다.

“관광객들이 등대에서 풍광을 보면 다들 놀라세요. 여기만큼 경치 좋은 곳이 없다고 하거든요.” 
박 이장은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다만 접근성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섬에는 버스나 택시 같은 교통수단이 없어 선착장에서 등대까지 7.3㎞를 오로지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202509_대청도_소청도_출장_9A2A0859.jpg
< 섬, 하다 >

< 섬, 하다 >는 인천 바다 끝에 사는 섬 주민들 이야기다.

대청도와 소청도에서 10억 년 시간의 흔적이 새겨진 서풍받이와 나이테바위, 모래가 만든 해안사구, 117년간 불을 밝혀 온 소청등대까지 섬의 삶과 변화를 기록했다.

진짜_나라(0001).jpeg
이나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