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ggle navigation
섬, 하다
홈
포트폴리오
소개
프로필
수상경력
활동이력
문의
연평도의'보물섬'
구지도 이야기
PREV
NEXT
“저 멀리 보이는
작은 섬
이 우리나라에서 저어새가 가장 많이 번식하는
보물섬
이에요.”
김기호 연평생태관광추진위원회 위원장
2025년 6월 22일
김기호 연평생태관광추진위원회 위원장이
연평도에서
1.5㎞ 떨어진
무인도 ‘구지도’를 가리키며 말했다.
구지도
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05-1호로 지정된 저어새의
국내 최대 번식지
다.
저어새는
주걱처럼 넓적한
검은색 긴 부리
로
물속을 좌우로 저으며
먹이를 찾는 습성
때문에
이같은 이름이 붙어졌다.
전 세계에 약
7000마리
만 남은
희귀종
이다.
구지도에서
저어새
개체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7년
처음
30여 쌍
이
확인된 이후 매년 수가 늘어
2023년
부터는
400쌍 이상
이 안정적으로 번식하고 있다.
최근에는
400~500쌍이 관찰
됐으며
개체 수로는
약 1000마리
에 달한다.
“구지도는 인천에서 가
장 중요한 물새 번식지
다.
전국적으로 20~30개 가까운 저어새 번식지가 확인됐는데,
구지도가
가장 많은 수가 번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섭 한국물새네트워크 상임이사
구지도는
‘특정도서’ 633호
로 지정된
무인도로,
생태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보호 구역
이다.
저어새 외에도
멸종위기종 1급
인
매
와
노랑부리백로
,
2급
인
검은머리물떼새
를 포함해
가마우지, 괭이갈매기 등 다양한 조류가
이곳에서 번식한다.
구지도가 저어새의
대표 번식지
로 자리 잡은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섬 주변 물살이 세다 보니
포유류의 접근이 어려워
외부 간섭이 거의 없다
.
게다가 남동유수지 같은 인공 섬에 비해
규모도 크고
,
섬 대부분이
탁 트인 초지
형태로 유지돼 울창한 숲을 꺼리는 저어새에겐 최적의 서식 환경이다.
01
Previous
Next
저어새는
3월부터 9월
까지 구지도를 비롯해
남동유수지, 저어도 등
서해 일대
에서 번식하고,
10월
이면 대만과
중국
,
홍콩
등지로 이동해 겨울을 난다.
김기호 위원장은 “인천을 상징하는
깃대종이 저어새
인데도
정작 연평도 바로 옆에 있는 구지도에
이렇게 많은 저어새가 산다는 걸
아는 사람은 드물다
”며
“소중한 자원을
생태관광 자원으로 널리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섬, 하다 >
〈섬, 하다〉는 인천 바다 끝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연평도에서는 꽃게와 저어새, 해양쓰레기, 포격의 기억까지
섬의 하루를 눈으로 보고, 기록으로 남겼다.
기사보기
이재민 기자
이나라 기자